얼마 전에 대학교 동기 결혼식을 다녀왔는데요. 제일 이야기를 많이 나누는 주제가 시계, 자동차더라고요. 근데 저는 시계 종류나 차 종류를 아는 게 없어서 이야기할 수 없었어요. 반면에 친구 동생 형들은 술술 이야기를 하더라고요. 왜냐하면 저는 아직 돈이 없기도 하고 대중교통만으로 불편함을 못 느껴서 차가 없어요. 그리고 시계도 마라톤용으로 산 무려 정가 28만 원짜리 시계여서 아마 이게 수명이 다하지 않는 한 바꿀 일은 없을 것 같아요. 이야기에 따라가지 못하는 나를 보며 제가 혹시 그 나이대에 가져야 할 기본지식을 따라가지 못한 걸까? 라는 생각을 했었어요.

1. 4월말부터 5월말까지 하프마라톤 2개, 10Km 마라톤 1개(이건 다가오는 일요일)를 참가했고, 완주했습니다. 2번째 하프마라톤은 정말 1시간40분의 벽을 깨고싶었지만 38초차이로 실패하였습니다. 더 열심히하라는 업보겠지요. 꾸준히 달리는 수밖에 없을것 같습니다. 마라톤을 달릴때 드는 생각은 1Km당 기록을 보며 페이스 조절을 어떻게 할까라는 생각과 정말 힘들다, 이 2가지 생각밖에 들지 않습니다. 그래서 좋습니다. 올해 가을쯤에는 풀코스도 나갈겁니다. 그러기 위해선 지금부터 연습을 열심히 해야할것 같아요. 2. 이제 진짜 이사를 갑니다. (곧) = 이제 곧 빚쟁이가 됩니다. 당첨호수 경쟁까지는 뚫었는데 투룸이 1개 원룸인5개인 곳입니다. 투룸을 가고 싶지만 순번추첨이 1순위가 아니거나 1순위인사람..
발버둥쳐봤자 결국 뱁새는 황새가 될 수 없는 걸까.
인생의 대부분이 재미가 없는 이렇게 지나가는 삶이라는 걸 알때도 되었다.
일 자체의 힘듦보다 일을 하는 사람들에게서 더 힘듦을 느낀다. 굳이 관련된 사람이 더 힘든것이 일뿐이겠냐만은.
어느덧 2018년도 마무리가 되어간다.매일, 매주, 매달 해야 한다고 늘 생각은 하지만 항상 연말이 되어서야 올 한해는 어떤 일들이 있었으며(주로 좋았던 일보단 안좋았던 일들이 먼저 떠오르는것 같긴 하지만) 내년 한 해는 어떤 목표와 마음가짐으로 살아야할지를 생각해본다.작년에는 대학교 졸업을 하고, 운이 좋게도 졸업을 하고나서 얼마 뒤에 취업을 하게 되어, 일에 정신없이 한해를 보냈다면, 올해는 사람때문에 고생을 참 많이했던 한 해였던 것 같다. 굳이 누가 왜 나를 힘들게 했는지는 다 지난일이기에 말하고 싶은 생각도 없고 그런 일들로 인해 배운게 하나 있다면 그 누구보다도 내 스스로는 내가 제일 소중하다는 걸 잊지 말아야한다는 것. 내가 흐드러지는 모습을 보이면, 나에게나 남들에게나 추해진다고 생각한다...